연봉 1억을 달성한다면 월 예상 수령액이 얼마나될지 궁금하신가요? 연봉이 올라갈수록 그만큼 국가에 내는 소득세도 덩달아 올라가기 때문에 연봉 1억 월 실수령액은 생각했던 것보다는 조금 적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연봉 계산기에 기초하여 연봉 1억일 경우 공제액을 제한뒤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연봉 1억 월 실수령액
실수령액 계산
연봉 1억을 단순히 12개월로 나눈다면 8,333,333원이 됩니다. 하지만 우리는 급여에서 4대 보험과 소득세 국민연금을 제한 금액을 받게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연봉 1억의 사람이 받을 수 있는 월 실수령액은 약 650만원 정도 입니다.
공제액 정리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모든 직장 근로자라면 사업자와 같이 내는 금액이며, 과세금액의 4.5%를 공제하고, 비과세금액이 있을 경우에는 비과세액을 제외한 과세금액에서만 세액이 공제됩니다.
연봉 1억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국민연금은 대략 265,500원이 나오게 됩니다.
건강보험
건강보험은 과세금액의 3.545%를 공제하고, 비과세금액이 있을 경우에는 비과세액을 제외한 과세금액에서만 세액이 공제됩니다.
연봉 1억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에는 대략 288,320원 정도가 나옵니다.
장기요양
장기요양은 건강보험 금액의 12.95%를 공제합니다. 37,330원이 되겠습니다.
고용보험
고용보험은 과세금액의 0.9%를 공제하고, 비과세금액이 있을 경우에는 비과세액을 제외한 과세금액에서만 세액이 공제됩니다.
대략 73,190원 입니다.
소득세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할 소득세 입니다. 소득세는 부양가족수와 20세 이하 자녀수에 따라서 국세청의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자료를 기준으로 공제됩니다.
연봉 1억의 소득세는 월 986,720원이 되겠습니다.
지방소득세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를 공제합니다. 98,670원이 됩니다.
공제액 정리
이렇듯 한 달 기준으로 공제액을 정리해보면 약 175만원 정도가 공제됩니다. 맨처음 계산했었던 830만원 정도에서 175만원을 제하면 대략 650만원 정도가 나오게 되는데요.
이 기준은 부양가족이나 20세 이하 자녀수가 없다는 가정하에 나온 결과값이니, 부양 가족과 20세 이하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공제금액이 소폭 감소하여 월 실수령액이 조금 늘어날 수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봉 계산기
연봉 1억원의 월 실수령액을 계산해 보았는데요. 연봉계산기를 많은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연봉별로 실수령액을 바로바로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본인의 현재 부양가족이나 자녀수를 입력하여 연봉이 올랐을 때의 실수령액을 계산해 볼 수도 있습니다.
연봉 계산기를 확인해보고 싶으신분은 아래 링크를 확인하세요.